전체 글
-
(주식용어) ROE경제/주식 2021. 12. 19. 07:33
# ROE의 사전적 정의 기업소유자인 보통주소유자들은 자연히 그들의 투자자금에 대한 수익성에만 관심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측정되는 비율이 자기자본수익률이다. 이는 우선주배당을 공제한 후 보통주 소유자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을 보통주자기자본(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포함)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 매경시사용어사전 # ROE를 쉽게 말하면? 부채를 제외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수익을 거두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한국말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공식으로 본다면 'ROE=순이익/자기 자본*100' 이렇게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A 회사의 자본이 100억인데 20억의 수익을 거두었다면 A 회사의 ROE는 20%가 되는 것이죠. # ROE를 언제? 왜? 알아야 하나요? ROE가 높은..
-
(주식용어) PER이란?경제/주식 2021. 12. 17. 08:21
#1. PER의 사전적 정의 PER(Price Earning Ratio)는 한국어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불린다.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로 계산되며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6만6000원이고 EPS가 1만2000원이라면 A사의 PER는 5.5가 된다. PER가 높다는 것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 PER가 낮다는 것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PER가 낮은 주식은 앞으로 주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2. PER을 쉽게 말하면? 간단하게 말하면 회사의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눈 것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순이익을 몇 년 모으면 기업가치에 도달하는가?입니다. 예를 ..
-
생산자와 소비자를 모두 지키는, 정부비축수산물해양수산 2021. 12. 16. 17:52
#1. 정부비축수산물이란? 수산물의 비생산 시기 또는 소비가 증가하는 명절 등 초과 수요 발생 시에 공급하기 위하여 주생산 시기에 수매ㆍ비축하는 수산물을 말합니다. * 근거법령 :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1조 및 시행령 제22조, 제23조 #2. 수산물 정부비축사업의 목적은? 수산물 수매를 통한 산지 가격을 지지하고, 가격안정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합니다. 또한 초과수요 발생 시 수산물의 원활한 수급조절과 더 나아가 국민 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 비축 예산 / 비축물량 : '21년 705억 원 / 1.3만 톤(잠정/전체 소비량의 1.37%) #3. 정부비축수산물 대상 품종은? 정부비축수매 수산물의 품목별 수매계획 물량 및 수매ㆍ판매 시기는 해양수산부장관이 그해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경제/주식 2021. 12. 15. 21:52
#1 재무제표 기본사항 확인하기 주식에서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에 관한 사항은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 번쯤 주식이 휴지조각이 되었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그 이유가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보지 않았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아래의 내용을 통해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2 매출액이란? 상품의 매출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수입금액으로 반제품, 부산품, 작업폐물 등을 포함한 총매출액에서 매출환입액 및 에누리액을 공제한 순매출액 및 에누리액을 공제한 순매출액을 말한다. 매출은 실현주의 원칙에 따라 상품을 인도한 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 날에 실현된 것으로 계상하나 예외적으로 건설업이나 조선업의 미완성 공사는 공사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실현된 것으로 계상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