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
장애인 유형 분류(지체장애, 뇌병변 등)상식/의학 2024. 5. 20. 16:33
#장애인 유형 구분장애인을 정의하는 기준은 각 국가마다 다릅니다. 한국의 경우,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따른 장애인을 15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지체장애인 : 팔, 다리 등 신체 일부에 장애가 있는 사람뇌병변장애인 : 뇌성마비 및 뇌졸중 등으로 인한 장애가 있는 사람시각장애인 : 시력의 장애로 일상 생활이 어려운 사람청각장애인 : 청력 및 평형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언어장애인 : 음성 기능이나 언어 기능에 영속적으로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지적장애인 :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자폐성자애인 : 자폐증에 따른 장애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정신장애인 :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 정신 건강 문제로 일..
-
혈압 고혈압 저혈압 의미 수치상식/의학 2024. 1. 3. 22:23
#혈압 고혈압 저혈압 의미 수치 고혈압과 저혈압이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 겁니다. 병원 등에서 수시로 체크하는 항목이 바로 혈압이죠. 그런데 정확히 혈압이 어느 정도가 정상 범위일까요? 어디서부터가 고혈압이고 어디서부터가 저혈압일까요? 이를 알려면 먼저 혈압이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혈압 먼저 혈압이란 심장에서 혈액을 운송시키는 혈관 내 압력을 의미합니다. 심장은 수축(쥐어짜기)과 이완(원상복귀)을 반복합니다. 심장이 수축작용을 해서 혈액을 동맥으로 보낼 때의 압력을 수축기혈압이라고 하고 심장이 확장하여 다시 원래대로 되돌아오면서(이완)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압력을 이완기혈압(또는 확장기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 고혈압이란 이름 그대로 혈압이 높다는 뜻입니다. 정확한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A형 독감과 B형 독감, 감기의 차이상식/의학 2023. 6. 7. 21:43
#A형 독감과 B형 독감, 감기 독감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바로 A형 독감과 B형 독감이 그것입니다. 독감과 일반 감기와의 차이, 그리고 A형 독감과 B형 독감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감기와 독감의 차이 일반 감기와 독감은 증상에서 유사성이 많습니다. 기침, 열, 콧물 등이 그것입니다.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구별하기는 어렵고, 병원에서 의사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보통은 감기약을 먹어도 해열이 되지 않는 등, 치료가 되지 않아 진단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증상의 정도에서 차이가 많이 나는데 독감의 경우 훨씬 증상이 심각합니다. 또한 근본적으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다릅니다. 감기는 20여 종의 바이러스가 200여 종의 변종을 만들어냅니다. 워낙 종류가 많아..
-
국, 탕, 찌개, 전골 차이상식 2023. 6. 6. 14:19
#국, 탕, 찌개, 전골 대표적인 국물 요리라고 하면 국, 탕, 찌개, 전골 4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비슷한 듯 하지만 엄연히 다른 4가지 요리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국 먼저 국은 서양 음식중에서는 수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기나 야채를 비롯한 건더기에다 물을 넣고 간을 맞춰서 먹는 음식입니다. 탕, 찌개, 전골에 비해 조리 시간이 가장 짧고 상대적으로 액체 상태가 투명합니다. 물이 많고 건더기가 적어 주로 국물을 먹는 요리입니다. 국은 메인 요리가 될 수 없습니다. 국에다가 밥을 말아먹는 국밥이란 말이 생긴 것처럼 한국인의 식탁에 없어서는 안되는 메뉴입니다. #탕 다음으로 탕은 국과 비슷하게 물이 많고 건더기가 적어 주로 국물을 먹는 요리입니다. 국과의 차이는 국보다 좀 ..
-
손난로 원리상식 2023. 4. 1. 22:37
#손난로 원리 매년 겨울이 되면 찾게 되는 필수품 가운데 하나인 손난로! 겨울을 따뜻하게 지내기 위해 꼭 필요한 물건인데요, 어떤 작동원리를 갖고 있는 걸까요? #종류별로 다른 원리 손난로는 그 종류에 따라 작동원리도 달라집니다.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분말형, 액체형, 전기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분말형 : 가장 많이 이용되는 손난로 형태입니다. 이 분말형은 철의 산화작용을 그 원리로 삼고 있습니다. 철이 산소 등과 반응하여 수산화제이철(Fe(OH₃)로 변환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이죠. 90년대에는 쇳가루(철가루)의 마찰열로 인한 폭발사고가 나기도 했었습니다. 단점은 일회용이라는 겁니다. 액체형 : 일명 똑딱이로 불리는 액체형 손난로는 티오황산타르륨 또는 아세트산나트륨이라고 하는 특..
-
비행기 탑승순서 왜 있는 걸까?상식 2022. 8. 31. 16:24
#비행기 탑승 순서 언젠가부터 공항에서 비행기를 탈 때 해당 항공편의 승객을 한꺼번에 태우는 것이 아니라 순서를 나누어 태우기 시작했습니다. 1번, 2번, 3번의 '탑승 순서'에 따라 태우는 것입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탑승 순서는 비행기의 뒤쪽 좌석부터 태우는 것입니다. 앞쪽 좌석의 승객이 먼저 타서 짐칸에 짐을 올리는 등의 이유로 길막을 시전하면 탑승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 이를 예방하고 보다 빠른 탑승을 위해 탑승 순서를 나누고 뒤쪽 승객부터 순서대로 태우는 것입니다.
-
독신, 미혼, 비혼 차이상식 2022. 8. 31. 14:50
#독신, 미혼, 비혼의 차이 우리가 혼용하면서 사용하는 단어 가운데에는 독신주의와 비혼주의가 있습니다. 비슷한 개념으로 미혼이라는 말도 있지요. 하지만 미혼주의라는 말은 없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각 단어의 개념과 용례를 알아보겠습니다. #비혼, 비혼주의자 먼지 비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혼非婚은 아닐 비자와 혼인할 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단어 그대로 결혼하지 않은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이 단어는 '선택'의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즉, 비혼이란 결혼하지 않기로 선택한 상태 그리고 비혼주의자란 결혼하지 않기로 선택한 사람을 말합니다. 비호과 관련된 특이사항 두 개는 아래와 같습니다. 핵심 개념이 혼인이기 때문에 혼인으로 묶이지 않고 동거하는 비혼주의자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비혼은 선택의 개념..
-
달의 모양에 따른 이름과 일식상식 2022. 8. 23. 19:44
#달의 변화 달의 모양은 계속 변합니다. 어떤 때는 초승달, 어떤 날은 보름달, 또 반달일 때도 있지요. 변화하는 달의 보양에 따른 명칭은 정확히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이러한 달의 변화는 어떻게 생겨나는 것일까요? #모양에 따른 달의 명칭 달은 태양과 달리 스스로 빛을 밝히지 못합니다. 달이 빛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햇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햇빛의 반사하는 달의 표면 중에서 우리를 향해 있는 부분만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달의 보양은 계속 변하는 것입니다. 그런 달은 어떤 모양일 때 어떤 이름으로 불릴까요? 달이니까 음력으로 보시죠. 음력 1일 : 이때는 달이 보이지 않아요! 태양이 구름에 가리지 않는 이상 늘 태양을 볼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는 달을 보지 못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