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
-
양식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잡초 및 병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해양수산 2024. 11. 12. 15:15
양식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잡초 및 병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양식 환경 위생 관리 (1) 수질 관리 정기적인 수질 검사: pH, 산소 농도, 질산염, 암모니아 등의 수질 지표를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기준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합니다. 여과 시스템 설치: 부유물질 제거와 수질 개선을 위해 생물학적, 물리적 여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정기적인 물 교체: 수질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오염을 줄입니다. (2) 사료 및 폐기물 관리 과잉 공급 금지: 사료의 과잉 공급을 줄여 남은 사료가 부패하지 않도록 합니다. 폐기물 제거: 바닥에 쌓인 배설물과 부유 폐기물을 정기적으로 제거합니다. 자동 급이기 사용: 자동 급이기를 사용하면..
-
수산물 해산물 차이해양수산 2022. 9. 1. 21:36
#수산물과 해산물의 차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말 중에 수산물과 해산물이 있습니다. 같은 말인 것 같기도 하고 무언가 다른 뜻 같기도 한데요, 정확한 단어의 의미와 사용례를 알아보겠습니다. #해산물 먼저 해산물을 알아보겠습니다. 해산물海産物은 바다 해자, 낳을 산자, 만물 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산물은 단어 그대로 바다에서 나는 동물이나 식물을 뜻합니다. 해물은 해산물의 줄임말로 같은 뜻입니다. #수산물 그럼 수산물은 해산물과 어떻게 다른 걸까요? 수산물水産物은 물 수자, 낳을 산자, 만물 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수산물은 물에서 나는 동물이나 식물을 뜻합니다. 여기서 물에는 바다뿐만 아니라 강이나 호수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즉, 수산물이 상위 개념이고, 해산물이 하위 개념인 것입니다.
-
열도, 군도, 제도, 고도 의미와 차이해양수산 2022. 8. 24. 14:21
#열도 군도 제도 고도 의미와 차이 열도, 군도, 제도, 고도 우리가 모두 익숙하게 들어본 말입니다. 모두 섬 도島자를 쓰기에 섬이라는 건 알겠지만 정확한 단어의 의미는 조금씩 헷갈리기도 합니다. 각 단어가 갖고 있는 의미와 용법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시죠! #열도列島 열도는 벌일 열자에 섬 도자를 쓰고 있습니다. 일열로 서다, 이열로 서다 할 때의 열列자와 섬이 합쳐진 단어입니다. 여러 개의 섬이 열을 지은 것처럼 죽 늘어서 있는 무리를 이루고 있을 때 그 무리를 열도라고 부릅니다. 일본 열도를 떠올리시면 그 개념을 이해하기 편할 겁니다. 일본을 보면 여러 개의 섬이 하나의 열을 이루듯 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군도群島 다음으로 군도를 알아볼까요? 구도의 한자는 무리 군자에 섬 도자를 쓰고 있습니다..
-
활어는 무슨 생선?해양수산 2022. 8. 2. 12:51
#활어는 무슨 생선? 횟집을 가보면 활어회라는 메뉴를 보게 됩니다. 활어는 도대체 무슨 생선으로 하는 회일까요? 광어처럼 활어라는 생선이 있는 걸까요? 아니라면 활어회는 어떤 회를 말하는 걸까요? #활어는 생선 이름이 아니다 활어活魚는 '살 활'자에 '물고기 어'자에서 알 수 있듯이 그냥 살아있는 생선을 뜻하는 말이지 광어나 우럭과 같은 생선의 종류를 뜻하는 말이 아닙니다. 영어로는 'live fish'입니다. 그럼 활어회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활어회란 살아있는 생선을 바로 썰어낸 회를 말합니다. #활어회, 선어회, 숙성회 차이 활어회와 비교되는 것으로 선어회와 숙성회가 있습니다. 이 또한 생선 이름이 아니라 조리 방법의 차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선어회 : 활어..
-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 현재와 미래해양수산 2022. 1. 30. 19:23
#친환경수산물 생산지원 직불제란? 유기식품 등 친환경수산물 인증 또는 친환경 배합사료 사용 어가를 대상으로 생산비 증가분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친환경수산물 생산지원 직불제 시행 1) 친환경어업 실천 어업인에게 소득 감소분 및 생산비 차이를 보전함으로써 친환경어업의 확산과 해양환경보전 등의 공익적 기능 제고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2) 2021년도 3월부터 친환경수산물 생산지원 직접직불제가 시행되어 품목별 인증단계별로 정해진 인증직불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수산물 인증제 활성화 1) 친환경수산물 인증 중 '무항생제 인증'과 '활성처리제 비사용 인증'을 받으려면 최근 1녀간의 기록 자료가 필요하나, 처음 인증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최근 6개월'간의 자료만 있어도 가능하도록 하여 인증까지 걸리는 ..
-
환경과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친환경수산물 인증!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해양수산 2022. 1. 28. 17:11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란? 해양 생태계를 보존하고 식품의 안전성과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친환경어업*을 통해 얻은 수산물(유기수산물, 무항생제수산물 및 활성처리제비사용 수산물)이 유기수산물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ㆍ가공ㆍ유통되는 식품(유기가공식품)과 인증품을 취급(포장)하는 자를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 친환경어업 : 항생제ㆍ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어업 부산물의 재활용을 통하여 생태계와 환경을 유지ㆍ보전하면서 안전한 수산물을 생산하는 어업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 기대효과?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를 통하여 수서 생태계 및 환경을 보존함과 동시에 우수한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소비자가 안..
-
생산자와 소비자를 모두 지키는, 정부비축수산물해양수산 2021. 12. 16. 17:52
#1. 정부비축수산물이란? 수산물의 비생산 시기 또는 소비가 증가하는 명절 등 초과 수요 발생 시에 공급하기 위하여 주생산 시기에 수매ㆍ비축하는 수산물을 말합니다. * 근거법령 :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1조 및 시행령 제22조, 제23조 #2. 수산물 정부비축사업의 목적은? 수산물 수매를 통한 산지 가격을 지지하고, 가격안정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합니다. 또한 초과수요 발생 시 수산물의 원활한 수급조절과 더 나아가 국민 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 비축 예산 / 비축물량 : '21년 705억 원 / 1.3만 톤(잠정/전체 소비량의 1.37%) #3. 정부비축수산물 대상 품종은? 정부비축수매 수산물의 품목별 수매계획 물량 및 수매ㆍ판매 시기는 해양수산부장관이 그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