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식
-
(주식투자) 하락장에 투자하라!경제/주식 2022. 2. 22. 06:00
#하락장에 투자하라 주식시장이 상승장일 때는 주식에 투자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돈을 벌지는 못합니다. 왜냐고요? 이미 오른 상태에서 샀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주식시장이 하락장일 때는 주식에 투자하기가 어렵습니다. 더 떨어질까 봐 두렵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때 투자하는 사람은 큰돈을 법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말합니다. 주식이 어렵다고요. 하지만 그건 원칙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원칙을 고수하라 주식투자의 원칙은 단순합니다. 쌀 때 사서 비쌀 때 파는 것입니다. 쌀 때 사려면 언제 사야 하죠? 네~ 하락장에 사야 합니다. 상승장에 들어선 지 오래되어서 거품이 잔뜩 킨 주식을 비싸게 사는 사람들은 이 단순한 주식의 원칙을 망각한 것입니다. 평소에 아~ 이 회사 참 괜찮은데..... 너무 비싸네...
-
(주식용어) ETN이란?경제/주식 2022. 2. 19. 06:00
#(주식용어) ETN이란? ETN이란 여러 개의 상품을 모아서 하나의 상품으로 만든 후, 이를 거래소에 상장해서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게 만든 상장지수채권을 뜻합니다. 주식처럼 거래된다는 점을 비롯해서 ETF와 대단히 유사하지만 ETF는 펀드이고 ETN은 채권이라는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ETN만의 특징 1 - 기한이 있다. ETN의 특징은 채권이라는 것입니다. 일반 주식이나, 부동산 등 대부분의 상품에는 만기일이 없습니다. 하지만 채권은 발행할 때문에 만기일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ETN도 마찬가지입니다. 만기 이전에는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지만 만기가 되면 자동 매도될 수 있으므로 매수할 때 만기일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ETN만의 특징 2 - 수익률이 유동적이다. ETN이 채권임에는..
-
(주식용어) 자본잠식이란?경제/주식 2022. 2. 17. 06:00
#자본잠식이란? 회사의 누적 적자폭이 커져서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까지 잠식되기 시작한 상태를 자본잠식 상태라고 말합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순자산(자본)이 자본금보다 더 적은 상태를 가리킵니다. 자본이라 하면 자본금과 잉여금을 합친 개념인데 정상적인 회사라면 매년 잉여금이 누적되면서 자본이 증가합니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선가 적자가 발생해서 잉여금을 모두 소진하고 자본금까지 소진하는 단계를 자본잠식이라고 합니다. #자본잠식의 의미 보통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적자를 보기도 합니다. 미래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다 보면 종종 적자를 발생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필요한 일이죠. 하지만 이것이 그동안 모아둔 잉여금 소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본금마저 갉아먹는다면 이는 회사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했..
-
(기업분석) 나이스디앤비경제/주식 2022. 2. 14. 18:41
#나이스디앤비 나이스디앤비는 어떤 회사일까요? 나이스디앤비는 나이스그룹과 D&B Corporation 등의 합작법인으로 2002년 설립된 글로벌 기업신용정보 제공기관(Commercial Credit Bureau)입니다. 주 사업내용으로는 국내외 기업신용정보조사 / 인증, 국내외 기업신용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구축, 컨설팅 및 TCB(기술신용평가) 등이 있습니다. #나이스디앤비의 장점 나이스디앤비는 지난 10년간 역성장 없이 꾸준한 성장을 보여 왔습니다. 그것도 큰 폭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말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19.7%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단지 회사의 이익 증가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꾸준히 배당을 증가시키면서 회사의 이익을 주주와 함께 나누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ETF'란? - ETF와 인덱스(패시브) 펀드의 공통점과 차이점경제/주식 2022. 2. 14. 15:47
#ETF란 무엇인가? - 인덱스 펀드와의 공통점 ETF란 상장된 인덱스 펀드(패시브 펀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코스피 200, 코스피 150 등 특정 지수와 연동되는 인덱스 펀드는 주식처럼 거래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ETF는 그렇게 만들어진 지수펀드 주권을 거래소에 상장시켜서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인덱스(패시브) 펀드나 ETF나 개별 종목에 투자하지 않고 주가 지수와 연동시킨다는 점에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둘 모두 '패시브 운용' 또는 '패시브 투자'라고 합니다. 그럼 이 둘은 어떤 점에서 다를까요? #ETF와 인덱스 펀드의 차이(1) - 구입단가 및 유동성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ETF 상품은 펀드와 달리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주식과 마찬가지로 실시간 매매가 가능합니..
-
(주식용어) '펀드'란?경제/주식 2022. 2. 13. 00:51
#펀드의 사전적 정의 펀드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모아진 자금을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들을 대신해 운용하는 금융상품이다. -매경시사용어사전 #펀드란? 쉽게 말해서 여러 사람들의 돈을 모아서 자산운용회사를 통해 투자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투자 행위인 주식과 비해서 말씀드리자면, 크게 두 가지 면에서 다릅니다. 첫째로, 자신의 돈을 투자하는 주식과는 달리 여러 사람의 돈이 들아간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여러 사람의 돈이 투자됐기 때문에 이익도, 손해도 그 비율대로 나누어 돌아가겠죠? 둘째로, 내가 관리하는 주식과는 달리 전문적인 운용기관인 자산운용사가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해서 운용한 결과에 따라 수익과 손해가 갈린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펀드의 장점 펀드의 장점은 전문적인 운용기관인 자산운용사가 아마..
-
(주식용어)우선주란?경제/주식 2022. 2. 8. 06:00
#우선주의 사전적 정의 우선주는 배당을 받거나 기업이 파산해 잔여재산 분배에 있어서 보통주보다 우선권을 갖는 주식을 말한다.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지만 배당금을 보통주보다 많이 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주식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다. - 매경시사용어사전 #우선주와 보통주 구분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주식을 보통주라고 합니다. 그리고 예외적으로 있는 주식이 우선주입니다. 따라서 상장된 회사라면 보통주는 기본적으로 있는 것이지만, 상장된 회사라 할지라도 우선주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우선주가 있는 회사보다는 없는 회사가 더 많습니다. 구분 방법은 간단합니다. 우선주는 보통주와 같은 이름에 우자가 붙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보통주는 '삼성전자..
-
(주식용어)공매도란?경제/주식 2022. 2. 7. 06:00
#공매도의 사전적 정의 공매도(Short Stock Selling)란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이다.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안에 주가가 하락하면 싼값으로 해당 주식을 매입해 증권사에 결제하면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 매경시사용어사전 #공매도란? 공매도는 영어로는 Short Stock Selling이고, 한자로는 空賣渡입니다. 빌 공자에, 팔 매자, 건널 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네, 말 그대로 없는 주식을 파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보통 일반적인 주식거래는 먼저 주식을 샀다가 나중에 파는 행위인데 공매도는 이와 반대로 먼저 팔고 나중에 주식을 매입하는 것입니다. 내가 보유하고 있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