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상식) 연금저축펀드 - 허와 실경제/상식 2022. 3. 5. 20:15반응형
#연금저축펀드 - 허와 실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누구는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상품이라고 이야기하고, 누구는 절대 가입해서는 안 되는 상품이라고 합니다. 왜 같은 상품에 대해 이렇게 상반된 견해가 나오는 걸까요?
#연금저축펀드란 무엇인가?
연금저축펀드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연금을 목적으로 하는 상품입니다.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고 연간 1,8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그중 연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수령은 55세 이상 또는 적립기간 5년 이상부터 가능합니다. 이름에 펀드가 들어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ETF나 펀드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펀드의 단점
기본적으로 연금저축펀드는 안정적인 노후를 대비하는 여러 수단 중에 하나로 장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여러 사람들이 걱정하는 데는 이유가 있겠죠? 우선 해지 시 발생하는 손해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사실 국민연금만 보더라도 해지가 불가능한 상품이기 때문에 유지가 되는 거지 국민연금도 중도 해지가 가능했다면 과연 얼마나 되는 분들이 국민연금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민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연금저축펀드를 과연 해지 없이 끌고 갈 수 있을까요? 당사자의 결혼, 자녀 출산, 학비, 갑작스러운 질병 등 목돈이 필요한 상황이 살면서 수시로 발생하는데.... 해지 없이 가져갈 수 있을까요? 연 400만 원까지(IRP를 통해 700만 원까지 가능) 세액공제 해택을 주지만, 해지할 때는 세액공제로 이익 본 것보다 더 많은 금액을 손해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단점은 원금손실의 우려가 있고 그 책임을 전적으로 내가 지는대도 고를 수 있는 상품이 제한적이라는 것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누가 대신해주는 게 아니라 내가 직접 펀드나 ETF를 골라서 진행합니다. 따라서 모든 책임은 오로지 나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상품 선택 및 리스크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공부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책임이 나에게 있다면 내가 원하는 상품은 무엇이든 고를 수 있어야 할 텐데 안정성을 추구하는 연금저축펀드는 개별 종목에는 가입할 수가 없습니다. 원금손실의 리스크를 감당하면서 하는 투자인데 그에 맞는 높인 이익을 기대할 수 없는 것입니다.
#연금저축펀드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
연금저축펀드의 가입 여부와 어떻게 운용할지는 개인의 경제 상황에 따라서, 그리고 개인의 성향 및 목표 등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평범한 서민이시라면 가입은 하되 연간 최대 400만 원 이하 금액으로 진행을 하시고 그 외 투자 여력이 있다면 그 부분은 다른 방식의 투자를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확률은 낮지만 원금의 대부분을 손실로 잃을 가능성이 분명 존재하고, 55세 이후 활용 가능한 상품에 너무 많은 돈을 투자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중간에 납입을 잠시 멈추거나 액수를 줄이시더라도 해지는 하지 않으신다는 생각으로 길게 보시고 진행하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물론 앞서 언급해드린 것처럼 개인의 상황이 모두 다르기에 어느 것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신중하게 최선의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반응형'경제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라벨링이란? 데이터 라벨러란? (0) 2022.03.15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란? NFT의 문제점 (0) 2022.03.12 GOS 갤럭시S22울트라 이슈 (0) 2022.03.08 탄소배출권 가격 결정 요인 (0) 2022.03.06 (경제상식) 채권이란? (0) 20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