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주식용어) EPS 주당순이익 이란?카테고리 없음 2022. 9. 2. 16:19
#EPS란? 재무제표에서 흔히 보게 되는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Earning은 이익을, Per은 각각의, 개별, Share는 주식을 의미합니다. 벌어들이는 수익을 개별 주식으로 나눈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EPS란 주당순이익입니다. 즉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더 쉽게 말해서 주식 1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입니다. #EPS 구하는 공식 EPS를 구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상기 정의에서 언급했듯이, 당기순이익을 전체 주식 수로 나누면 됩니다. EPS = 당기순이익 / 전체 주식수 EX) 2022년 SBS의 EPS는 얼마나 될까요? 추정 순이익인 1,867억 원을 주식 수인 18,252,582로 나누면 약 1만 원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추정치기 ..
-
수산물 해산물 차이해양수산 2022. 9. 1. 21:36
#수산물과 해산물의 차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말 중에 수산물과 해산물이 있습니다. 같은 말인 것 같기도 하고 무언가 다른 뜻 같기도 한데요, 정확한 단어의 의미와 사용례를 알아보겠습니다. #해산물 먼저 해산물을 알아보겠습니다. 해산물海産物은 바다 해자, 낳을 산자, 만물 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산물은 단어 그대로 바다에서 나는 동물이나 식물을 뜻합니다. 해물은 해산물의 줄임말로 같은 뜻입니다. #수산물 그럼 수산물은 해산물과 어떻게 다른 걸까요? 수산물水産物은 물 수자, 낳을 산자, 만물 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수산물은 물에서 나는 동물이나 식물을 뜻합니다. 여기서 물에는 바다뿐만 아니라 강이나 호수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즉, 수산물이 상위 개념이고, 해산물이 하위 개념인 것입니다.
-
비행기 탑승순서 왜 있는 걸까?상식 2022. 8. 31. 16:24
#비행기 탑승 순서 언젠가부터 공항에서 비행기를 탈 때 해당 항공편의 승객을 한꺼번에 태우는 것이 아니라 순서를 나누어 태우기 시작했습니다. 1번, 2번, 3번의 '탑승 순서'에 따라 태우는 것입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탑승 순서는 비행기의 뒤쪽 좌석부터 태우는 것입니다. 앞쪽 좌석의 승객이 먼저 타서 짐칸에 짐을 올리는 등의 이유로 길막을 시전하면 탑승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 이를 예방하고 보다 빠른 탑승을 위해 탑승 순서를 나누고 뒤쪽 승객부터 순서대로 태우는 것입니다.
-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이란? 신청 자격 및 신청 방법경제/지원 2022. 8. 31. 16:07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경기도에 거주 중인 청년(1982. 1. 2. ~ 2004. 12. 31일 생) 에게 최대 30만 원까지 면접 비용을 제공해주는 경기도 청년면접수당에 대해 자세하게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주는 돈은 잘 챙겨 먹어야겠죠? #신청 자격 먼저 신청 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조건 : 1982. 1. 2. ~ 2004. 12. 31. 생인 자가 신청일 기준 경기도민이어야 하며 2022년 1월 1일 이후 면접에 응시했어야만 합니다. 내년에는 2023년 1월 1일 이후 면접 응시자여야 하겠죠? 신청 부적격자 : 실업급여수급자, 경기여성취업지원금 참여자, '수원시 청카드 사업' 등 유사사업 참여자, 경기도 주관 공무원 면접비 대상자(경기도청 근무 예정자), 직계 존비속 또는 배우자 등 가족..
-
독신, 미혼, 비혼 차이상식 2022. 8. 31. 14:50
#독신, 미혼, 비혼의 차이 우리가 혼용하면서 사용하는 단어 가운데에는 독신주의와 비혼주의가 있습니다. 비슷한 개념으로 미혼이라는 말도 있지요. 하지만 미혼주의라는 말은 없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각 단어의 개념과 용례를 알아보겠습니다. #비혼, 비혼주의자 먼지 비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혼非婚은 아닐 비자와 혼인할 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단어 그대로 결혼하지 않은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이 단어는 '선택'의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즉, 비혼이란 결혼하지 않기로 선택한 상태 그리고 비혼주의자란 결혼하지 않기로 선택한 사람을 말합니다. 비호과 관련된 특이사항 두 개는 아래와 같습니다. 핵심 개념이 혼인이기 때문에 혼인으로 묶이지 않고 동거하는 비혼주의자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비혼은 선택의 개념..
-
열도, 군도, 제도, 고도 의미와 차이해양수산 2022. 8. 24. 14:21
#열도 군도 제도 고도 의미와 차이 열도, 군도, 제도, 고도 우리가 모두 익숙하게 들어본 말입니다. 모두 섬 도島자를 쓰기에 섬이라는 건 알겠지만 정확한 단어의 의미는 조금씩 헷갈리기도 합니다. 각 단어가 갖고 있는 의미와 용법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시죠! #열도列島 열도는 벌일 열자에 섬 도자를 쓰고 있습니다. 일열로 서다, 이열로 서다 할 때의 열列자와 섬이 합쳐진 단어입니다. 여러 개의 섬이 열을 지은 것처럼 죽 늘어서 있는 무리를 이루고 있을 때 그 무리를 열도라고 부릅니다. 일본 열도를 떠올리시면 그 개념을 이해하기 편할 겁니다. 일본을 보면 여러 개의 섬이 하나의 열을 이루듯 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군도群島 다음으로 군도를 알아볼까요? 구도의 한자는 무리 군자에 섬 도자를 쓰고 있습니다..
-
rpm 이란? 연비 및 레드존경제/자동차 2022. 8. 23. 20:43
#RPM이란? rpm이란 무엇일까요? 운전자라면 차량 계기판을 보지 않을 수 없을 텐데요, 계기판에 표시되는 rpm 수치는 무엇일까요? 우선 rpm은 Revolutions Per Minute의 약자입니다. 1분당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것이죠. 보통 시동을 걸면 이 수치가 크게 올랐다가 1천 아래로 떨어지는 걸 확인하실 겁니다.(아니라면 빨리 정비소로 가셔야 합니다.) 1분당 엔진 회전수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엔진이 많이 돌면 돌수록 기름을 많이 먹습니다. 급가속, 급정지를 반복하면 연료 효율이 떨어진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엔진이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수에 변화가 생기면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정 rpm을 유지하는 것이..
-
달의 모양에 따른 이름과 일식상식 2022. 8. 23. 19:44
#달의 변화 달의 모양은 계속 변합니다. 어떤 때는 초승달, 어떤 날은 보름달, 또 반달일 때도 있지요. 변화하는 달의 보양에 따른 명칭은 정확히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이러한 달의 변화는 어떻게 생겨나는 것일까요? #모양에 따른 달의 명칭 달은 태양과 달리 스스로 빛을 밝히지 못합니다. 달이 빛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햇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햇빛의 반사하는 달의 표면 중에서 우리를 향해 있는 부분만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달의 보양은 계속 변하는 것입니다. 그런 달은 어떤 모양일 때 어떤 이름으로 불릴까요? 달이니까 음력으로 보시죠. 음력 1일 : 이때는 달이 보이지 않아요! 태양이 구름에 가리지 않는 이상 늘 태양을 볼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는 달을 보지 못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