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투자) 공매도 보는 법경제/주식 2022. 3. 3. 22:30반응형
#왜 공매도를 볼 줄 알아야 할까?
우선, 공매도는 주식을 먼저 팔고 나중에 사는 것입니다. 보통 주식이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는데 공매도는 반대로 주식이 하락하는 것에 배팅하는 것이죠. 공매도를 볼 줄 안다면 내가 공매도를 하지는 않더라도 투자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의 개념에 대해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매도 보는 방법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KRX 공매도 종합포털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상기 링크를 들어가셔서 원하는 기업명을 입력하면 거래일 별로 공매도 거래량, 잔고수량, 거래대금, 잔고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잔고 수량과 잔고 금액은 거래일 2일 후에 확인)
#공매도를 어떻게 주식투자에 활용할 것인가?
그럼 이제 특정 기업의 공매도를 보았다면 이를 어떻게 주식투자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우선, 공매도 수량 등은 모두 과거 데이터입니다. 미래 지표가 아닌 것이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참고할 만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잔고수량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 잔고 수량은 공매도를 목적으로 빌린 주식 중 아직 정산되지 않고 남아있는 수량을 뜻합니다. 잔고 수량이 늘어난다는 것은 공매도한 주식을 갚지 않는다는 거고 이는 주가가 떨어지리라 예상하고 기다리는 사람이 많다는 겁니다. 향후 공매도로 인해 주식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잔고수량이 계속 줄어든다면 주가에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주가가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빌린 주식을 갚아나가고 있다는 거니까요. 둘째로 공매도 거래량 자체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 거래량이 급증하고 주가가 하락한다면, 숏커버링을 예상하고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미수거래란? 미수거래의 장점과 단점 (0) 2022.03.11 좋은 기업과 좋은 주식은 다르다 (0) 2022.03.10 (주식투자) 주주가 정말 회사의 주인일까? (1) 2022.03.02 (주식용어) PEG란? (0) 2022.03.01 (주식투자) 하락장에 투자하라! (0)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