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과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친환경수산물 인증!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해양수산 2022. 1. 28. 17:11반응형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란?
해양 생태계를 보존하고 식품의 안전성과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친환경어업*을 통해 얻은 수산물(유기수산물, 무항생제수산물 및 활성처리제비사용 수산물)이 유기수산물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ㆍ가공ㆍ유통되는 식품(유기가공식품)과 인증품을 취급(포장)하는 자를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 친환경어업 : 항생제ㆍ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어업 부산물의 재활용을 통하여 생태계와 환경을 유지ㆍ보전하면서 안전한 수산물을 생산하는 어업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 기대효과?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를 통하여 수서 생태계 및 환경을 보존함과 동시에 우수한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국가가 인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수산식품의 이미지 제고로 수산물의 소비촉진을 도모합니다.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 종류
1) 유기수산물 : 사육자재(사료, 약품), 복지 및 질병관리, 양식공정 등을 관리하고 허용물질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생산하는 수산물
2) 유기가공식품 : 유기수산물 및 유기식품(첨가물)을 원료로 하고 생산시설, 가공공정을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생산되는 수산가공식품
3) 무항생제 수산물 : 양식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항생제 사용 시 지정 휴약기간의 2배 준수 및 잔류량이 법적 허용기준의 1/2 이하인 수산물
4) 활성처리제 비사용 수산물 : 양식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잡조 및 병해제거를 위해 유기산 등 화학물질이나 활성처리제를 사용하지 않은 수산물
#친환경수산물 인증 등록 및 관리 절차
신청인이 인증기관(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각 지원 또는 지정 인증기관)에 신청을 하여 접수가 되면, 10일 이내에 심사계획을 알리고 서류 심사 -> 현장 심사 -> 인증 여부 판정 -> 인증서 발급(적합 시) -> 교부(통보)의 단계로 진행되며 발급 후에는 생산과정조사, 유통과정조사 및 불시심사 등의 사후관리를 받게 됩니다.(민원처리기간 : 2개월)
반응형'해양수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물 해산물 차이 (0) 2022.09.01 열도, 군도, 제도, 고도 의미와 차이 (0) 2022.08.24 활어는 무슨 생선? (0) 2022.08.02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 현재와 미래 (0) 2022.01.30 생산자와 소비자를 모두 지키는, 정부비축수산물 (0) 2021.12.16